-
허그 전세보증보험 제출 서류 및 가입조건, 방법 한방에 해결 (쉬움)일상/기록 2021. 2. 10. 07:40
[허그 전세보증보험 제출 서류 및 가입조건, 방법 한방에 해결하자]
전세가격이 매매가랑 차이가 거의 없는 요즘,
전세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울 것 같다고 판단되면 무조건 보증보험을 들어두자.
나는 금요일날 서류를 제출하고 월요일날 오전 10시에 가입가능 알람을 받았다.
주말을 제외하면 심사까지 소요된 기간은 단 하루.
귀차니즘이 심한 분들도(나 포함) 쉽고 빠르게 가입이 가능하다.
준비물은 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서류만 준비하면 오케이.
마음 편하게 먹고 아래 내용을 쓱- 읽어보자.
출바알
1. 스마트폰에서 네이버 어플을 실행한 후 검색창에
" 허그전세보증보험 "을 입력한다
엔터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보증가입 신청을 클릭한다.
2.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서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위 내용 중 하나라도 해당이 안된다면 가입이 불가능하다.
전부 해당된다면 빨간색 부분을 손꾸락으로 터치터치 해주자.
아래부분에 전세자금 대출을 받았는지 또는 받지 않았는지 한군데만 터치해주면 된다
전세자금 대출을 받았습니다.를 체크했다면,
대출받았을때 채권양도나 질권설정을 안 했을 경우에만 가입이 가능하다.
여기까지가 가입조건에 해당된다.
3. 본인 확인을 위해 주민번호 뒤 7자리를 입력해준다
검정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내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고 다음을 눌러주자.
4. 임대차계약서와 동일한 정보를 입력한다
임대차계약서와 내용이 다를 경우 심사 진행이 안된다.
주소 및 보증금, 계약시작일과 계약종료일을 임대차계약서를 확인하고 동일하게 적어주자.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 할인항목에 해당되는 사항이 있으면 체크해주자
추가로 서류가 요구될 수 있는 점 기억해두자.
참고로, 청년가구는 만19세이상 34세 이하의
결혼한 청년가구를 뜻한다.
나 청년인데, 이거 해당되나?
하는 분들은 결혼한 사람이 받는 혜택이라는 걸 기억하자.
5. 예상 보증료를 확인한다.
1억 2천만원을 보증금으로 적었을 때
연간 35,265원씩 총 70,530원이라는 금액이 나온다.
(원래 금액은 아래 369,093원이다)
21년 6월 30일까지 80% 할인된 금액이 적용되어
저렴하게 가입이 가능하니 나중에 가입하지 말고 이사 후 바로 가입하는 걸 추천한다.
다음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신청 접수 완료 화면이 뜬다.
다시 한번 주소 / 주택유형 / 보증금 / 계약기간 / 보증기간이
잘못 기입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해준다.
잘못 기입되어 있으면 수정해줘야지 신청이 거부된다.
6. 제출 서류를 확인하고 준비한다
위 이미지에 물음표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내용이 뜬다.
제출서류_확정일자부 임대차 계약서
물음표를 터치하면 발급처가 나오는데,
임대차계약서는 부동산에서 임대인과 작성한 계약서를 말한다.
부동산에서 작성했던 계약서를 꺼내서 사진을 찍어주면 된다.
전입세대 열람내역서(도로명)
전입세대 열람내역서는
동사무소(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해야지만 출력이 가능하다
인터넷으로 발급이 안된다.
이때 신분증과 임대차계약서를 꼭 가지고 방문해야지 발급이 가능하다
전입세대 열람내역서(지번)
- 전입세대 열람내역서 도로명 + 지번 출력도 같이 해줘야 된다.
신분증과 임대차계약서 가져가는 거 잊지 말자.
전입세대 열람내역서(도로명 + 지번) 발급받았다면 사진을 찍어둔다.
보증금완납영수증
보증금 완납영수증은
부동산에서 계약금과 잔금치르면 지불완료했다고 영수증을 준다.
그게 보증금 완납영수증이다.
계약금 냈을때 납부 완료했다는 증표로 받은 영수증 하나랑,
잔금 납부했을 떄 받았던 영수증 이렇게 두개 사진찍어주면 된다.
이때 영수증에 집주인 도장이 찍혀있을텐데,
계약금 완납영수증과 잔급 완납영수증에 찍힌 임대인의 도장이 같아야 한다.
주민등록등본
등본은 인터넷으로도 발급이 가능하나
어차피 전입세대 열람내역서를 발급 받기 위해 주민센터에 방문해야 되기때문에
주민센터에서 한방에 해결하는게 더 효율적이다.
아무튼 발급을 받거나 개인적으로 출력을 했다면 사진을 찍어둔다.
7. 마지막으로 찍어뒀던 사진을 첨부하고 서류를 제출하면 끝!
서류 검토 기간은 나는 금요일오후에 제출했는데,
월요일 오전10시에 심사완료되었다고, 돈 입금하라고 네이버 어플로 알람이 왔다.
당일 오후 6신가?
그때까지 입금 안되면 취소된다고 알람이 떠있는걸 보고는
바로 1시쯤에 바로 입금했던 기억이 난다.
네이버 무알람으로 설정되어있다면 수시로 확인해서 심사가 완료되진 않았는지,
아니면 알람이 울리게 설정을 변경해서 바로 확인하고 입금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허그 전세보증보험 스마트폰으로 제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순서대로만 진행하면 내가 가입이 가능하지 유무와,
제출서류까지 한눈에 확인이 가능하니 어렵게 생각말고 일단 진행해보자.
서류도 많지 않기 때문에 보증보험가입 기준에 해당만 된다면
쉽게 통과될 것이다.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한다고 해서 마냥 안전하다고만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대비가 되는 건 사실인지라
전세보증금 날릴까봐 걱정인 분들은 보증보험신청해보자.
나도 보증보험신청해두고서도 이런저런 포스팅을 읽으면서 지식을 쌓고 있다.
지금 가입하면 적은 금액으로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기회를 노려보자.
'일상 >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명 후 졸업증명서 발급받는 방법 (10) 2021.02.21 이사 갈 빌라가 전세보험 가입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방법은? (0) 2021.02.17 [전세 이사] 전세에서 전세로 이사할 때 주의할 점 (경험담) (0) 2021.01.15 [카페 경험담] 카페에서 하는 일 : 알바 편 (0) 2020.11.26 [카페 경험담] 취업_바리스타 자격증 필요 할까? (0) 2020.11.20